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객관적인 시각의 중요성 (역지사지)

번뜩 생각난 아이디어

by 그누버기 2024. 4. 28. 14:35

본문

반응형

객관이란 말에는 항상 상대방이 있다. 네이버에서 '객관'이란 말을 검색해보니, '자기와의 관계에서 벗어나 제삼자의 입장에서 사물을 보거나 생각함.'이라고 정의를 한다. 영어로는 Objective. 왜 Objective가 객관이란 의미가 되었는지는 잘 모르겠지만..여튼 쉽게 말하자면 내가 아닌 상대방의 시각에서 본다는게 객관이다. 반대되는 말은 누구나 알듯이 주관이다. 영어로는 Subjective.. 객관과 반대되는 주관이라는 말은 주로 ‘주관이 뚜렷하다’는 좋은 의미로 사용되지만, 주관이 지나쳐서 ‘독단과 독선’이라는 표현처럼 안좋은 의미로도 사용된다. 반면에 객관이라는 말은 좀 두루뭉술한 의미처럼 느껴지는 부분도 있지만, 주관이라는 말과는 다르게 객관이 지나친다해도 안좋은 의미로 사용되지는 않는거 같다. 혹시 객관이 지나쳐서 방관이나 무시라는 안좋은 의미로 사용 될지는 모르겠다.

여튼, 주관이 지나쳐서 독단과 독선이 계속되면 결국엔 ‘고집과 아집’이 생기고 이로인해 독단과 독선보다 더 안좋게 평가되기 때문에, 지나치게 주관적인 생각이나 시각에서 벗어나 상대방의 시각인 객관적인 시각으로 모든 사물과 판단을 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럼 객관적인 시각이 왜 중요하다고 하는걸까? 객관적인 시각의 중요성에 대해 한참을 생각해도 왜 중요한 지 설명하기 어려워 GPT AI에게 질문을 했더니 아래와 같은 답을 준다.
1) 이는 결정을 내릴 때 실수를 줄이고, 품질 높은 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도움을 준다.
2) 대립되는 의견이나 이해관계를 존중하고 신뢰를 쌓는 데에도 도움을 준다.
3) 공정한 평가와 평가 기준을 설정할 때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4) 여러 관점에서 문제를 바라보면 새로운 아이디어를 발견하고 창의적인 해결책을 도출할 수 있다.

AI가 이렇게 답을 주는 것을 보니, 어디서든 객관적이라는 표현이나 말을 듣게되면 나는 항상 어떤 문제에 대한 정답처럼 생각되기도 한다.

이렇듯 좋은 의미를 갖고있는 객관적인 시각을 갖기 위해서는 상당한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왜냐하면 객관적인 시각으로 사물을 보고 판단을 한다고 생각하는 나 자신이 이미 주관적이기 때문이다. 쉽게말해 '객관적으로 바라보고 생각하고 있다고 느끼는 상황'이 이미 주관적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상대방과 역할을 바꿔서 상대방의 입장을 이해하려는 역할놀이(네이버 검색에서는 교육학에서 '평소에 접하기 어려운 상황을 경험해보도록 하거나 다른 사람의 역할을 실행해봄으로써 자신이나 타인의 행동에 대한 새로운 통찰력을 얻게 하는 데 목적이 있다. 타인의 입장을 이해하는 감정이입 등의 공감능력을 함양하는 데도 도움이 된다.'라고 설명하고 있다.)를 함으로써 상대방의 시각에서 좀 더 객관적으로 사물을 보고 판단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결국 주관적인 생각에서 벗어나 좀 더 상대방의 시각에서 보고 판단할 수 있는 연습과 노력을 통해 더 나은 이해와 판단을 할 수 있도록 계속 노력하자.
Try to be objective. Keep try.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