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틴은 프랑스어 'routine'에서 유래되었으며, 이는 다시 라틴어 'rupta'에서 파생되었습니다. 'rupta'는 '길'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래서 '루틴'은 원래 '길'이라는 의미에서 출발하여, '정해진 길'이라는 의미로 발전하였습니다.
루틴은 영어로 'routine'이며, '평소에 하는 방식' 또는 '정해진 대로 하는 방식'을 의미합니다. 일상생활에서 반복적으로 하는 일들을 특정한 패턴으로 진행하는 것을 말합니다. 루틴과 습관은 종종 혼용되어 사용되지만, 분명한 차이가 있습니다. 습관은 무의식적으로 이루어지는 자동화된 행동이며, 루틴은 의도를 가지고 만들어낸 행동입니다. 즉 루틴은 우리가 의식적으로 선택하고 계획하여 반복하는 일련의 행동들입니다.
나만의 루틴을 만들기 위해서는 먼저 자신의 삶의 목표와 가치를 명확히 해야 합니다. 그 다음 목표에 부합하는 작은 습관들을 정하여, 매일 조금씩 실천해 나가는 것이 중요합니다.
네이버 블로그 참조 : https://blog.naver.com/colormake76/223405043369
1. 사람이 계획적으로 변한다.
정해진 기상 시간에 일어나 10분 정도 간단한 스트레칭을 하고, 샤워를 한 후 드링킹 요구르트를 마신다. 정해진 시간에 지하철을 타고 출근하면 회사에 커피머신으로 커피한잔 내린다음, 밤새 수신된 이메일을 하나하나 확인하고 회신이나 공유를 한다. 그렇게 하루를 시작하고 그날 그날 할 일을 전 날에 미리 챙겨놨기 때문에 업무에 누수는 없다.(생각보다 업무를 처리하는데 시간이 걸려서 일정을 못지키거나, 불가피하게 치고들어오는 일이 있어서 지연되는 경우가 아니라면 그날의 일은 그날 처리한다.) 퇴근 후 집에와서 간단히 저녁 식사를 한 후 잠깐 뉴스를 보고, 9시경 헬스를 한다. 그리고 샤워후 컴퓨터를 켜서 이런저런 기사도 보고 글도 쓰고 그리고나서 11시30분 경 취침한다.
내 일상이고 이 중에 많은 부분이 루틴으로 이루어진 일상이다. 이런 일상을 십수년 하고 있다보니, 그 외 휴일의 일상도 계획적으로 변했다. 주말에 할 일을 구글 캘린더에 등록해 놓고 계획에 따라 행동한다. 만약 주말에 드라이브나 멀리 외식하러 갈 경우에는 근처 주차장이나 볼거리, 식당에 대한 정보를 미리 파악한다. 너무 짜여진 삶속에 산다거나 갑갑하다고 느끼는 분들이 있을까? 나 아닌 다른 사람의 외부 시선으로 볼 때는 그렇게 생각될 수도 있지만, 나 스스로는 이렇게 루틴을 갖고 계획적으로 사는게 좋다.
이런 부분은 사람의 성향과도 많이 관련이 있을 듯 한다. 집사람은 일상의 대부분이 즉흥적이고 그 즉흥적인 것에 만족하고 있으니..이렇든 저렇든 사람마다 운동이던 취미던 한 두개의 루틴으로 하루를 구성하면 뭔가 성취하고 잘하고 있다는 쾌감 정도는 가질 수 있지 않을까?
2. 규칙적인 생활로 무의미한 시간이 없어진다.
하루 하루가 루틴과 계획으로 이루어져 있다보니, 쓸모없이 버려지는 시간이 줄어든다. 대부분의 시간이 티비를 보거나 게임을 하거나 멍하게 있는게 아니고, 뭔가를 하고있는 시간이기 때문에 결과물이 있다. 규칙적으로 마신 요구르트로 장 건강이 좋아져서 항상 쾌변을 본다던가 규칙적인 운동으로 몸의 핏이 좋아지는 결과가 있다. 시간은 유한하다. 티끌모아 태산이라고, 유한한 시간을 루틴과 계획을 통해서 효율적으로 사용하고 그런 사용이 쌓이고 쌓이면 유의미한 결과를 얻고 만족감도 얻을 수 있다.
3. 개인의 발전을 도모할 수 있다.
말 그대로 개인의 발전을 위한 루틴을 만들고 실천하다보면 변화하는 내 모습을 통해 개인의 발전을 도모할 수 있다. 무엇을 하던 안좋은 것이나 문제되는 것을 루틴으로 하지는 않을 것이기 때문에 무조건 개인의 발전을 도모할 수 밖에 없다.
다양한 슬로건 (0) | 2024.05.12 |
---|---|
재미와 잘함의 개념 (0) | 2024.05.12 |
모든 것에는 시작과 끝이있다. (0) | 2024.05.07 |
일을 할 때는 이해가 선행되어야.. (0) | 2024.05.07 |
원칙의 중요성 (근본과 기본, Basic) (2) | 2024.04.28 |